안녕하세요. 고라소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리권의 제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 자기계약과 쌍방대리의 제한
민법 제124조[자기계약.쌍방대리] 대리인은 본인의 허락이 없으면 본인을 위하여 자기와 법률행위를 하거나 동일한 법률행위에 관하여 당사자 쌍방을 대리하지 못한다. 그러나 채무의 이행은 할 수 있다.
○ 원칙은 금지됨.
○ 예외적으로
1) 본인의 허락이 있거나
2) 채무의 이행(다툼이 없는 채무이행만 가능)
의 경우에만 허용된다.
■ 공동대리의 제한
민법 제119조[각자대리] 대리인이 수인인 때에는 각자가 본인을 대리한다. 그러나 법률 또는 수권행위에 다른 정한 바가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원칙은 각자대리임.
○ 예외적으로
1) 법률의 규정이나
- 친권의 공동행사
2) 수권행위에 의하여 특별히 정해진 경우에만 공동대리가 인정된다.
■ 공동대리의 종류
○ 능동대리: 공동대리인들이 의사결정을 공동으로 하는 것.
-반드시 의사표시를 공동으로 할 필요는 없다.
○ 수동대리: 상대방의 의사표시를 수령하는 것.
- 공동대리라도 수동대리는 각자가 할 수 있다.
-단순히 수령만 하므로 각자가 하더라도 본인을 해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Effort in Certificates > 공인중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2][물권법] 소 제기시부터 vs 패소판결시부터 (0) | 2019.10.24 |
---|---|
[D-2][물권법] 점유 매개 관계와 간접 점유 개념 쉽게 이해하자 (0) | 2019.10.24 |
[D-2][민법총칙] 비정상적 의사표시 각각의 요건과 효력 (0) | 2019.10.24 |
[D-2][민법총칙] <법률행위>의 개념과 요건 그리고 종류vs <준법률행위>의 개념 (0) | 2019.10.24 |
[D-3][민법총칙] 법률행위 해석 방법- <오표시무효의 법칙> 이란 무엇일까? (0) | 2019.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