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ffort to get a Decent Job/수험 한국사 완벽 정리

[한국사 종교사][불교편] 신라 중대(통일신라)의 불교 승려 시기별 분석 - 원효, 의상, 원측, 진표, 혜초, 김교각, 심상

by 고라소니 2019. 11. 7.

안녕하세요. 고라소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무원 단기합격 비결 한국사 정리 시리즈로 삼국시대 신라의 불교 승려와 관련하여 정리한 자료를 공유하겠습니다.

※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불교 승려-중대(통일신라)

통일신라 영향日일본의 하쿠호문화

 

 

 

 

무열왕·문무왕

원효

[대승기승론소]: 요에 전해져 반포됨,

[금강삼매경론],

[화엄경소], [십문화쟁론]

어릴 때 이름 서당, 신라의 5법성종(경주 분황사) 창시, 설총의 아버지(무열왕때 요석공주와 혼인), 손자 설중업이 애장왕때 원효의 일대기를 적은 [고선사서당화상비] 건립, 파계 후 소성거사 자처, 무애가, 삼론종 발달, 일심사상(=화쟁사상), 중관파와 유식파 모두 비판·연구, 내세(정토신앙=아미타 신앙), only 나무아미타불 염불(불교경전·교리X), 관음(현세)X

문무왕·신문왕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사상의 핵심 요체를 210개의 그림·글씨로 요약

진골귀족, 당 지엄의 문하, 관음(현세)신앙+정토(내세)신앙, 신라의 5화엄종(영주 부석사) 개창, 일즉다다즉일(원융, 일체불리), 화엄사상(모든 만물 상호의존관계, 하나()가 곧 만물이고 만물이 곧 하나다), 신문왕에 [화왕계] 지어 바침, 문무왕의 축성 만류(but 문무왕때 영주 부석사 창건), 양양 낙산사, 안동 봉정사

문무왕

원측

[해심밀경소]

유식파만 연구(One side, 중관파는 연구X), 당 현장(유식불교1인자)에게서 배움, 당 규기와 논쟁(서명학파의 교리 이해 우월성 때문에 중국 법상종의 3조라 평가 받는다)

경덕왕

진표

백제 유민 출신, 백제유민호응

신라 5법상종(금산사) 창시, 미륵신앙강조(후에 고구려유민과 견훤에게도 영향을 줌)

혜공왕·선덕왕

혜초

[왕오천축국전]: 인도·중앙아시아 순례 후 생생기록

교종, 프랑스 학자 펠리오가 중국 둔황 천불동에서 발견, 프랑스 파리국립도서관에 보관

성덕왕

김교각

성덕왕의

당 건너가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추앙받음

심상

의상의 제자

에 화엄종 전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