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라소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무원 단기합격 비결 한국사 정리 시리즈로 삼국시대 신라의 불교 승려와 관련하여 정리한 자료를 공유하겠습니다.
※ 무단 도용을 금합니다.
■ 불교 승려-고려 시대
초기 |
광종 |
유학승 파견하여 중국 천태종 발전에 기여 |
의통 |
중국 천태종의 16대 교조 |
||
제관 |
[천태사교의] |
|||||
※천태종을 융성시켜 교종과 선종 통합 |
||||||
균여 |
귀법사 주지, 두 그룹의 화엄종파 중 북악의 법손, |
북악 중심으로 남악 융합하여 화엄사상 정비, 보살의 실천행 강조, 성상융회(空과 色의 융합), 화엄종 중심 교종 통합. |
[보현십원가] |
|||
※중국의 법안종을 수입하여 9산 선문의 선종 통합·정리. ※교종시와 선종시로 나누어 승과 실시. ※국사·왕사 제도(교종과 선종의 구별X) 실시 |
||||||
중기 |
문종 |
대각국사 의천 |
문종子, 문벌귀족, 송유학, “나는 원효(해동보살)의 화쟁일심사상을 이어 받았다”, 균여 영향 받음O, 균여 계승은 X |
先 화엄종 중심으로 흥왕사(현종때 세워지기 시작하여 문종때 완성됨, 교장도감 설치해 [속장경=교장] 간행 함)를 근거지로 교종 통합. 後 천태종(해동천태종)을 창시하고 국청사를 창건하여 선종을 통합(교관겸수, 내외겸전). |
교장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원종문류], [석원사림] ※교장: 100% 교종 주석서, 송·요·일본의 주석서를 긁어 모은 거라 정식 대장경 아님, 따리서 ‘경·율·논’ 3장으로 구성되지 않음, 몽고 2차때 목판이 소실됨, 인쇄본은 현존. |
|
무신집권기 |
최충헌 |
보조국사 지눌 |
조계종 보조국사 지눌, 무신집권기 대세, 몽골 쳐들어오기 전에 죽음, 지방민들에게지지. |
선교일치사상 완성, 산으로!! 독경과 꾸준한 선 수행(수선사=순천 송광사 결사)으로 깨달음의 확인, 노동에 힘쓰자, 나=부처(一 心, 한마음), 정혜쌍수(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 둘이 아니다. 화엄경의 의미를 분석하여 모든 부처의 지혜를 깨달아 마음의 근원 삼아), 돈오점수(능엄경에 이르기를 진리는 단번에 깨닫지만 구체적인 번뇌는 한번에 없어지지 않아 차례로 제거한다), 선교 일치 사상 완성. |
||
최충헌 |
요세 |
교종(천태종)인데 강진 호족세력의 지원을 받음, 백련사(=강진 만덕사) |
원효의 정토사상 적극 수용하여 백성 신앙욕구 충족, 순수한 참회(법화)신앙, 백련결사=보현도량 |
|||
최우 |
강력한 항몽투쟁 표방하여 최씨정권의 비호 받음. |
|||||
최우 |
혜심 |
지눌 제자(수선사계통), 몽골 쳐들어오자마자 죽음. |
유불일치설, “유와 도의 종은 부처님의 법에서 흘러 나온 것이다.” 심성의 도야, 성리학수용토대, cf.최우·최항 송광사 입사하여 강화도에 송광사 分寺설치 |
|||
원간섭기 |
|
요세 |
원황실의 원찰인 묘련사로 변질됨. |
|||
충목왕 |
보우 |
원에서 임제종 도입 |
||||
공민왕 |
왕사 보우 |
9산 선문 통합 노력 but 실패 |
'Effort to get a Decent Job > 수험 한국사 완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외세 침입] 고조선 때의 연나라와 한나라의 침략 (0) | 2019.11.18 |
---|---|
[한국사 외세 침입] 수나라(581~618)의 고구려 침입 - 시기별 분석 (0) | 2019.11.07 |
[한국사 종교사][불교편] 신라 중대(통일신라)의 불교 승려 시기별 분석 - 원효, 의상, 원측, 진표, 혜초, 김교각, 심상 (0) | 2019.11.07 |
[한국사 시험직전 암기 요령]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 조선 왕 이름과 연호 묶어 외우기 (0) | 2019.11.07 |
[한국사종교사][불교편] 신라시대 김부식과 일연의 왕 구분 차이 정리 (0) | 2019.11.07 |
댓글